[SEO 스터디-02] 내 사이트 구글에 등록하기 - 구글 서치 콘솔, google seach console- 검색엔진 최적화 구글 상단 노출
Kick off
검색엔진 최적화(SEO)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?
"실행할 경우 노출이 상승할 수 있다"라는 확률적인 것보다는 확실한 것을 가장 먼저 해야 하지 않을까?
그래서 나는 노출하고 싶은 사이트를 검색 포탈에 등록하는 작업이 최우선이라고 생각한다.
스터디 전에는 생각도 못 했는데, 우리나라에서 서비스하는 주요 포탈은 모두 사이트를 등록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한다.
오늘은 한국에서 계속해서 점유율이 높아져 가고 있는 구글에 등록하는 방법을 스터디 할 것이다.
Let's Dive In
1. Google Search Console (구글서치콘솔)
구글에서 제공하는 검색 도구로 사이트 등록, 색인 생성 및 관리 등의 기초적인 사이트 관리 뿐만 아니라 사용자 링크나 색인의 트래픽 등의 분석 자료들도 제공
① 구글서치 콘솔 접속 > 시작하기 클릭(https://search.google.com/search-console/about?hl=ko)
② URL 등록
아래 두개의 옵션 중 해당되는 옵션에 URL 주소를 작성해 주고 > [계속] 버튼을 누른다
• 도메인 옵션
- 하나의 도메인이 아닌, 모든 도메인 속성 포함
ex) www.naver.com,m.naver.com
- DNS 인증 필수 : 도메인 옵션으로 진행 시 TXT레코드를 제공해 주는데, 해당 텍스트를 DNS 설정에 추가해야 한다.
• URL 접두어
- 단일 URL 등록 시 사용
-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듯 보인다. 블로그나 개인 홈페이지 등록 시 해당 옵션으로 진행
③ 소유권 확인 진행
다양한 옵션 제공이 되지만, 나는 가장 간편하게 할 수 있는 HTML 태그 추가를 해주었다.
이 때 확인 버튼 클릭 시 소유권 인증이 진행되기 때문에 수정 작업 진행 후 확인 버튼을 눌러주면 된다.
티스토리의 경우 [관리 > 꾸미기 > 스킨 편집 > html 수정] 의 경로를 통해 추가할 수 있다.
<head>와 <head> 사이 아무데나 붙여주면 된다.
④ 사이트맵 추가
소유권 확인까지 진행되면 속성이 생성되며 서치콘솔로 진입할 수 있다.
좌측 메뉴 항목들 중 [Sitemaps]를 들어가 준다.
여기서 sitemap과 rss를 등록하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.
이미지에 표기된 영역에, sitemap.xml을 입력하고 제출해 준다, 제출하면 아래 [제출된 사이트맵에] 등록되게 된다.
이상없이 등록되면 상태 > 성공이라는 표시가 뜰 것이다.
같은 방법으로 rss를 입력해주고 제출해주면 rss도 제출이 될 것이다.
(소문자로 써야된다고 하는데 인식이 안되서 대문자로 해보니까 등록이 잘 된다.)
이렇게 구글에 나의 사이트가 정상적으로 등록 완료되었다.
In Closing
구글뿐만 아니라 네이버의 서치어드바이저, 다음 웹마스터도구, Bing 웹마스터 도구, ZUM 사이트 등록 등 주요 검색 포탈에서는 등록 서비스를 제공한다. 블로그 등록이 불가능한 ZUM을 제외한 모든 채널에 내 사이트를 등록하는 것이 유입자 확보에 중요하니 모두 등록해 주도록 하자.
•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: https://searchadvisor.naver.com/
• 다음 웹마스터 도구 : https://webmaster.daum.net/
• Bing 웹마스터 도구 : https://www.bing.com/webmasters
• ZUM 사이트 등록 : https://help.zum.com/search/site/register
사이트 내부를 수정이나 유입 키워드를 리서치하는 검색 엔진 최적화의 경우 100% 상위 노출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다.
이 방법 들은 지속적으로 테스트를 해가며 점진적으로 노출 순위를 올려가는 과정인데 오늘 소개한 방법은 공식적으로 주요 포탈에서 제공해주는 방법이므로 다른 최적화 방법 시작 전에 최우선적으로 등록해 주자.